카테고리 없음

PF정상화지원펀드 내용과 사례 / 출자전환 장단점

오늘의 바다 2024. 1. 14. 11:30
반응형

PF정상화지원펀드 내용과 사례 / 출자전환

삼부빌딩 PF

목차

  1. pf정상화 지원 펀드
  2. 출자전환이란?

 

PF위기 ‘돈맥경화’ 뚫는 금융권 펀드… 금융권 “언제까지” 우려도 - 조선비즈 (chosun.com)

 

PF위기 ‘돈맥경화’ 뚫는 금융권 펀드… 금융권 “언제까지” 우려도

PF위기 돈맥경화 뚫는 금융권 펀드 금융권 언제까지 우려도 주요 금융지주 1000억~2000억원대 투자 저축·여신업권도 4000억원 투자

biz.chosun.com

 

1. PF정상화 지원 펀드

부실 PF채권을 정리하고 정상화하는 데 사용되는 펀드이다.

펀드 운용사가 PF채권을 인수하여 기존 권리관계 및 법률문제 등을 해소하고 사업, 재무 구조를 재편하는 방식이다. 금융권에서는 1조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금융권 별도 펀드에서는 PF사업 재구조화가 필요한 사업장을 자체적으로 선별해서 지원할 계획이라고 한다. 펀드 조성 금액이 부실 PF규모를 생각하면 금액이 적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PF정상화 지원펀드 사례를 살펴보면 삼부빌딩 개발사업이 있다.

이지스 자산운용이 1100억 원에 매입하며 추진했던 삼부빌딩 개발사업이 공매 매물로 나왔다. 삼부빌딩은 브릿지론을 본 PF로 전환하지 못하여 채권자가 공매를 신청한 물건이다. 급격하게 오른 금리, 공사비, 분양 경기 시장 악화로 인해 브릿지론 기한 이익상실(EOD)까지 발생하였다. 

이를 10월 신한자산운용이 신한 PF정상화지원펀드를 통해 선순위채권을 일부 양수하여 이를 출자전환해서 낙찰대금을 모두 납부하고 10년 장기임대주택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SK디앤디가 본 펀드에 함께 출자하였고 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2. 출자전환이란?

기업 부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것.

일반적으로 금융기관이 기업에 대출하거나 보증을 선 돈을 회수하지 않고 기업의 주식과 맞바꾸는 것이다. 

즉, 기업이 빌린 돈을 못 갚으니 그 부채만큼 기업 주식으로 바꾸는 것이다. 

장점

  • 부실채권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기업의 부채 축소로 경영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
  • 부채가 줄어드니 이자 비용이 크게 줄어든다.
  • 재무구조개선이 빠르게 이루어지며 큰 비용이 들지 않는다.

단점

  • 부채 규모만큼 주식을 넘겨야 하기 때문에 경영권 방어가 어렵다.
  • 기업 정상화에 실패한다면 주식을 받은 은행도 함께 위험해진다.

 

반응형